📚 학습 기록/Java 기초 & 중급

[25.02.16]Java - 입문 개념 정리 및 자기화: 연산자

zenjoydev 2025. 2. 16. 22:04

🔎 핵심 개념

  • 연산자
  • 연산의 우선순위
  • 타입별 연산

🔧 연산자란?

연산자는 데이터를 조작하거나 처리하는 데 사용되는 기호입니다. Java에서 다양한 연산자를 제공하며, 각각의 역할과 사용법이 다릅니다.

1. 연산자의 종류

1) 사칙연산

  • + (더하기)
  • - (빼기)
  • * (곱하기)
  • / (나누기)
  • % (나머지)
    • 활용: 나머지 연산자는 홀수/짝수 판별 등에 자주 사용됩니다.

2) 증감 연산자

  • 전위 연산자: 값의 앞에 연산자가 위치합니다.
    예) ++값
    • 동작 방식: 값을 먼저 연산한 후 대입합니다.
    • 주의: 계산 순서 혼동을 유발할 수 있어 보통 선호되지 않습니다.
  • 후위 연산자: 값의 뒤에 연산자가 위치합니다.
    예) 값++
    • 동작 방식: 값을 먼저 대입한 후 연산합니다.

3) 비교 연산자

  • =: 값을 대입할 때 사용합니다.
  • ==: 값이 같은지를 비교합니다.
    • 문자열 비교 시에는 .equals(값) 메서드를 사용해야 정확한 비교가 가능합니다.

4) 논리 연산자

  • && (AND): 두 조건이 모두 만족해야 true입니다.
    예) 값1 && 값2
  • || (OR): 두 조건 중 하나만 만족해도 true입니다.
  • ! (NOT): 값을 부정합니다.
    • 활용: != 연산자는 "같지 않음"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.

2. 타입별 연산

  • 숫자형 연산: 숫자끼리 연산하면 일반적인 사칙연산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.
    예) 1 + 2 = 3
  • 문자열 연산: 문자열끼리 더할 경우 문자열이 연결됩니다.
    예) "hello" + "java" = "hellojava"

3. 연산의 우선순위

Java의 연산자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괄호 () > 단항 연산자 > 산술 연산 > Shift 연산 > 비교 연산 > 등식 > 비트 연산 > 논리 연산 > 삼항 연산자 (? :) > 대입 연산

Tip: 괄호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면 우선순위를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.


주의사항 & 에러 포인트

  1. 비교 연산자 주의: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적절한 비교 연산자를 사용해야 합니다.
  2. 문자열 비교 주의: == 연산자는 문자열을 비교할 때 부정확할 수 있으므로, 반드시 .equals() 메서드를 사용하세요.
public class OperatorExample {
   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        // 사칙연산 예제
        int a = 10;
        int b = 3;
        System.out.println("더하기: " + (a + b));  // 13
        System.out.println("나머지: " + (a % b));  // 1

        // 증감 연산자 예제
        int x = 5;
        System.out.println("후위 연산: " + x++);  // 출력: 5, x는 6으로 증가
        System.out.println("전위 연산: " + ++x);  // 출력: 7

        // 비교 연산자 예제
        System.out.println("같은 값인가? " + (a == b));  // false

        // 논리 연산자 예제
        boolean result = (a > b) && (b > 0);
        System.out.println("논리 연산 결과: " + result);  // true
    }
}

 

정리

  • 다양한 연산자를 이해하고 적절히 활용하는 것은 Java 프로그래밍의 기본입니다.
  • 각 연산자의 특성과 우선순위를 정확히 숙지하여 코드 오류 방지와 구현에 활용해보세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