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--
## 개요
Flutter로 앱 개발을 하다 보면 반복적으로 마주치는 공통 기능들이 있습니다.
이번 포스팅에서는 실무에서 자주 사용되는 **5가지 필수 개념**을 **예제 코드 중심**으로 정리합니다.
**목표**:
- 초보자 → 중급자 도약
- 실무 로직 → 더 깔끔하고 안전하게 관리
- 반복 로직 → 함수화로 테스트와 재사용 가능
---
## 목차
1. [Map 생성 및 관리](#map-생성-및-관리)
2. [문자열 정규화 및 비교](#문자열-정규화-및-비교)
3. [로직 메서드 분리](#로직-메서드-분리)
4. [리스트/Set 조건 메서드 활용](#리스트set-조건-메서드-활용)
5. [팩토리 생성자](#팩토리-생성자)
6. [실무 활용 가이드](#실무-활용-가이드)
7. [문제 예방 팁](#문제-예방-팁)
8. [참고 자료](#참고-자료)
---
## Map 생성 및 관리
### 🧠 개념 요약
- `Map`은 키-값 쌍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, 데이터 구조화 및 빠른 조회에 강점
- API 응답 데이터 정리 및 캐시 처리에도 적합
### 🧪 예시 코드
Map<String, int> scores = {
'math': 90,
'english': 85,
};
scores['science'] = 95;
print(scores['math']); // 90
if (scores.containsKey('history')) {
print('과목 있음');
}
문자열 정규화 및 비교
🧠 개념 요약
- 사용자 입력 비교 시 대소문자 무시와 특수문자 제거는 필수
- toLowerCase() + RegExp를 조합하여 정규화 처리
🧪 예시 코드
String normalize(String input) {
return input.toLowerCase().replaceAll(RegExp(r'\s+|[^a-z0-9]'), '');
}
bool isEqualNormalized(String a, String b) {
return normalize(a) == normalize(b);
}
print(isEqualNormalized("Hello!", " hello")); // true
로직 메서드 분리
🧠 개념 요약
- UI와 비즈니스 로직을 분리하여 유지보수성과 테스트 용이성 확보
- 공통 검증 로직은 utils, services 디렉토리로 모듈화
🧪 예시 코드
bool isValidScore(int score) => score >= 0 && score <= 100;
int userScore = 85;
if (isValidScore(userScore)) {
print("유효한 점수입니다.");
}
리스트/Set 조건 메서드 활용
🧠 개념 요약
- 반복문 대신 조건 메서드(any, every, where, contains)를 사용하면 코드 간결화
- 중복 제거에는 Set 활용이 필수
🧪 예시 코드
List<String> tags = ['flutter', 'dart', 'mobile'];
bool hasFlutter = tags.any((tag) => tag.contains('flutter'));
Set<int> uniqueScores = {100, 90, 80};
bool allAbove70 = uniqueScores.every((score) => score > 70);
print(hasFlutter); // true
print(allAbove70); // true
팩토리 생성자
🧠 개념 요약
- 생성 로직을 제어할 수 있는 특별한 생성자
- JSON 파싱, 싱글톤 인스턴스, 조건 기반 인스턴스 반환 등에 활용됨
🧪 예시 코드
class User {
final String name;
final int age;
User._(this.name, this.age); // private constructor
factory User.fromJson(Map<String, dynamic> json) {
return User._(
json['name'] ?? 'Unknown',
json['age'] ?? 0,
);
}
}
Map<String, dynamic> jsonData = {'name': 'John', 'age': 30};
User user = User.fromJson(jsonData);
실무 활용 가이드
사용자 검색 필터 | 문자열 정규화 | normalize() 후 비교 |
API 응답 처리 | 팩토리 생성자 | JSON → 객체 생성 |
입력값 검증 | 로직 분리 | 점수, 이메일 유효성 등 |
중복 검사 | Set 조건 메서드 | unique + any() |
설정 저장 | Map | 키-값 저장 구조로 정리 |
문제 예방 팁
Map | 없는 키 접근 → null 반환 | containsKey() 사전 체크 |
정규화 | 불완전한 비교 | RegExp 필수 적용 |
메서드 분리 | UI 내부에 if-else 혼재 | 로직 함수화 + 별도 분리 |
조건 메서드 | for문 남용 | any, every, where 사용 |
팩토리 생성자 | 일반 생성자와 혼용 | private + factory 조합 설계 |
참고 자료
📌 관련 태그: Flutter, Dart, 팩토리생성자, JSON파싱, 조건필터, 로직분리, 앱개발, 실무패턴, 정규표현식, 모바일개발
질문과 토론
이 포스트가 도움이 되셨나요?
아래 댓글로 자유롭게 의견 남겨주세요!
- 팩토리 생성자 말고 다른 JSON 처리 방식 써보신 적 있나요?
- 조건 메서드 중 어떤 걸 가장 자주 쓰시나요?
- 실제 팀 프로젝트에서는 이 중 어떤 개념이 가장 자주 쓰였나요?
이 글이 유익하셨다면 구독과 공유 부탁드립니다! 🙏
지속적으로 실무 개발자를 위한 Flutter 콘텐츠를 다룰 예정입니다
📌 관련 태그: Flutter, Dart, 팩토리생성자, JSON파싱, 조건필터, 로직분리, 앱개발, 실무패턴, 정규표현식, 모바일개발
'📚 학습 기록 > Dart & Flutter 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Flutter/Dart 실무 개발 실수 방지 가이드: 1개월 학습 과정의 핵심 문제 해결 패턴 (3) | 2025.07.17 |
---|---|
Flutter fromJson 팩토리 패턴 완전 가이드: 타입 안전한 JSON 파싱과 실무 상태관리 패턴 (2) | 2025.07.15 |
Flutter 핵심 위젯 선택 가이드: Padding vs Container, Navigator 활용법, ScaffoldMessenger 실무 적용법 (2) | 2025.07.10 |
Flutter TodoList 앱 완전 가이드: 편집 기능 구현을 통한 5가지 핵심 개념 마스터 (3) | 2025.07.10 |
Flutter Navigator 완전 가이드: Named Routes와 arguments를 활용한 효율적인 화면 관리 (4) | 2025.07.08 |